top of page

온라인 서비스 기획

​온라인 서비스 기획 원리를 앱/웹 상품과 앱/웹 서비스 상품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.

앱/웹과 앱/웹 서비스 상품

​정의 차이

앱/웹

  • ​​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온라인 프로그램(유형의 제품)

  • 누구나 동일하게 인식 가능 (예: 네이버 앱은 모두에게 네이버 앱)

  • 코드로 이루어진 기술적 산출물

앱/웹 서비스

  • 앱/웹을 통해 제공되는 경험과 상호작용(무형의 제품)

  • 사용자별로 다르게 인식됨 (예: 같은 네이버라도 사용자마다 경험이 다름)

  • 주관적 만족도, 사용 후 평가는 다름

​제품 차이

앱/웹 (유형의 제품)

  • ​​기술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로직을 갖는 프로그램

  •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보이고 작동

  • 개인화는 단지 동일한 프로그램 내 데이터 차별적 제공일 뿐 본질은 같음

앱/웹 서비스 (무형의 제품)

  • 사용자가 앱/웹을 통해 느끼는 경험과 가치

  • 동일한 프로그램을 이용하더라도 개인 별 만족도와 인식 차이가 존재

  • 서비스 평점이나 후기에서 확인 가능 (3점 주는 사람, 5점 주는 사람)

기획 차이

앱/웹 기획 (공학적 로직 기반)

  • 명확한 정의, 기능, 로직, 화면(UI) 설계를 중심으로 함

  • 개발자와 동일한 이해가 필요한 영역

  • 물리 세계의 "거시적 법칙(명확성과 일관성)"과 유사

앱/웹 서비스 기획 (인지 시스템, 경험 기반)

  • 사용자의 심리, 경험, 인지 스키마에 기반한 기획

  • 동일한 앱이라도 사용자 경험은 확률적으로 달라짐

  • 양자역학적, 통계적 확률 모델과 유사 

(사용자 만족도와 반응이 확률적으로 나타남)

과학적, 합리적 기획 방법론

  • 앱/웹 = 유형의 제품 (기술적 프로그램)

  • 앱/웹 서비스 = 무형의 제품 (사용자 경험)

  • 기획 방향 및 내용 차이

​앱/웹 기획: 기능, 로직, 화면, 기술적 완결성 추구

​앱/웹 서비스 기획: 앱/웹 내 사용자 경험, 만족도, 인지적 반응, 확률적 변화 고려

​앱/웹은 '무엇을 만드는가(What to build)'에 대한 것이고,

​앱/웹 서비스는 '사용자에게 무엇을 느끼게 할 것인가 (What to make users feel)'애 대한 것.

기획/설계 대상​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과학적 기획 방법론에 의해 진행합니다.
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