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
MVP 개발 기초
​설계 플랜

본격적인 앱/웹 설계에 앞서, 서비스 핵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최소기능제품(MVP)의 뼈대를 만드는 체계적인 기획을 진행합니다.

​개발팀이 전체 서비스를 이해하고, 핵심에 집중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개요

  • 목적: 가설 검증을 위한 최소 기능 앱/웹 개발을 위한 설계

  • 기간: 약 3개월 가량 소요

  • 특징

    • 전체 화면 설계가 아닌 서비스 구조, 핵심 기능/사용자 여정 중심 기획

    • 이후 실제 화면 설계와 스토리보드 작업의 기반이 되는 기초 설계서 역할

    • ​개발자가 서비스 본질과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지원

2

기획 작업 목표

  • 목표: 서비스 가설을 기반으로, 개발팀이 즉시 개발 착수가 가능한 수준의 기획 설계 완성

  • 효과:

    • 계륵 같은 화면들의 구성에서 벗어나 서비스 본질에 집중

    • 기획자, 개발자 간 커뮤니케이션 오류 감소

    • 초기 서비스 의도를 유지하여 "시간 오염" 현상 최소화

    •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향후 AI 적용, 개인화 확장 가능성 확보

3

​작업 1개월 차 - 정책 및 정보구조 설계

  • 회원, 포인트, 어드민 등 핵심 정책 정의

  • 서비스 가설 기반의 정보구조(IA) 설계

  • MVP 메뉴 구성 도출

  • 서비스 가설 플랜 선행 시  기간  단축 가능  

4

작업 2개월 차 - 프로세스 및 기능 설계

  • 사용자 여정을 바탕으로 주요 플로우 및 유즈케이스 작성

  • MVP 화면 별 핵심 기능 명세 정리

  • BA(비즈니스 아키텍처) 작성 (비즈니스 로직, 규칙 구체화)

5

​작업 3개월 차 - 개발 협업 및 최종 산출

  • 개발팀 리뷰 및 Q&A

  • 신출물 보완 및 최종 패키징

  • 필요 시 개발 감리 역할 수행 (수행 시 기간 단축 가능)

6

주요 산출물

  • MVP 서비스 청사진

    • MVP IA ​

    • 핵심 기능 정의서

    • 주요 기능 프로세스

    • BA

7

​기대 효과

  • 서비스 핵심 가치에 집중한 최소 기능 정의

  • 이후 개발, 운영, 고도화 과정에서 서비스 본질 유지

  • 유지보수, 확장성, AI 적동 가능성을 고려한 데이터 구조 기반 마련

  • ​불필요한 재개발 및 코드 누적 문제 감소

bottom of page